티스토리 뷰

메모

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

가좌왕 2017. 1. 3. 22:25

 사비나에게 있어 진리 속에 산다거나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군중 없이 산다는 조건에서만 가능한 일이다. 행위의 목격자가 있는 그 순간부터 우리는 좋건 싫건 간에 우리를 관찰하는 눈에 우리를 맞추며,  우리가 하는 그 무엇도 더 이상 진실이 아니다. 군중이 있다는 것, 군중을 염두에 둔다는 것은 거짓 속에 사는 것이다. -p. 187


 공개적으로 변한 사랑은 무게를 더 할 것이고, 짐으로 변할 것이다. -p.191


 토마시는 영혼의 순수함을 변호하는 공산주의자들이 악 쓰는 소리를 들으며 이렇게 생각했다. 당신의 무지 탓에 이 나라는 향후 몇 세기 동안 자유를 상실했는데 자신이 결백하다고 소리칠 수 있나요? 자, 다신 주위를 돌아보셨나요? 참담함을 느끼지 않나요? 당신에겐 그것을 돌아볼 눈이 없는지도 모르죠!  아직도 눈이 남아 있다면 그것을 뽑아 버리고 테베를 떠나시오!  -p.289


 "대통령에게 탄원서를 보내는 것보다 생매장당한 까마귀를 꺼내 주는 것이 훨씬 중요하지요." -p.353


 사랑이란, 우리 자신의 잃어버린 반쪽에 대한 욕망이다. -p.385


 전체주의적인 키치왕국에서 대답은 미리 주어져 있으며, 모든 새로운 질문은 배제된다. 따라서 전체주의 키치의 진정한 적대자는 질문을 던지는 사람인 셈이다. 질문이란, 이면에 숨은 것을 볼 수 있도록 무대장치의 화폭을 찢는 칼과 같은 것이다. 

 사비나가 테레자에게 자기 그림의 의미를 이런 식으로 설명했다. 앞은 이해가능한 거짓말이고 그 뒤로 가야 이해 불가능한 진실이 투명하게 드러난다. -p.441


 사랑을 의심하고 저울질하고 탐색하고 검토하는 이런 모든 의문은 사랑을 그 싹부터 파괴할지도 모른다. 만약 우리가 사랑할 수 없다면, 그것은 아마도 우리가 사랑받기를 원하기 때문일 것이다. 다시 말해, 아무런 요구 없이 타인에게 다가가 단지 그의 존재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무엇(사랑)을 원하기 때문일 것이다. -p.482

'메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수호지  (0) 2017.02.09
다빈치코드  (0) 2017.02.03
10대와 통하는 사찰 벽화이야기  (0) 2016.12.30
미니멀리즘  (0) 2016.12.29
슈독  (0) 2016.11.30